지역별 뉴스를 확인하세요.

많이 본 뉴스

광고닫기

[음악으로 읽는 세상] 내 황금 같은 젊은 날

‘삶이 그대를 속일지라도’라는 시로 유명한 러시아 작가 푸시킨은 서른여덟 젊은 나이에 갑자기 세상을 떠났다. 사건의 시간적 배경은 1837년 1월 27일 오후 4시, 공간적 배경은 상트페테르부르크 남쪽의 초르나야였다. 여기서 푸시킨은 당테스라는 프랑스 장교와 결투를 벌였다. 당테스가 푸시킨의 아내와 자기가 그렇고 그런 사이라는 소문을 퍼트리자 화가 난 푸시킨이 결투를 신청한 것이다. 결투는 푸시킨의 패배로 끝났다. 평생 글이나 쓰던 백면서생이 군인에게 대들었으니 결과는 불 보듯 뻔했다. 그렇게 푸시킨은 결투 중에 상대편 총에 맞아 세상을 떠났다.   이렇게 어이없는 죽음이 또 있을까. 러시아가 자랑하는 위대한 작가가 겨우 이런 일로 목숨을 잃다니 통탄할 일이 아닐 수 없다. 그런데 놀라운 것은 푸시킨이 세상을 떠나기 9년 전에 이미 소설을 통해 자기와 똑같은 최후를 맞은 인물을 창조했다는 점이다. 문제의 소설은 『예프게니 오네긴』이다. 여기에 렌스키라는 시인이 나오는데, 그가 바로 푸시킨처럼 애정 문제로 결투를 벌이다가 친구의 총에 맞아 죽는다.   푸시킨은 소설에서 렌스키에게 이승에서의 마지막 시를 읊게 한다. 레테강으로 사라질 운명에 처한 젊은 시인의 마지막 독백이다. ‘오! 어디로 어디로 가버렸단 말인가. 내 젊음의 황금 같은 날들이여./ 다가오는 내일은 나를 위해 무엇을 준비해 두었는가. 헛되이 그것을 바라볼 뿐 모든 것이 어둠 속에 가려져 있구나./ 그러나 상관없는 일 운명이 가는 길은 항상 옳은 것이니 눈을 뜨고 있거나 감고 있어도 모든 것은 예정된 시간에 따라 움직이거늘.’   러시아 작곡가 차이콥스키는 이 소설을 가지고 오페라를 만들었다. 소설에서처럼 오페라에서도 렌스키는 생의 마지막 노래를 부른다. 푸시킨의 주옥같은 시어를 담은 선율이 가슴을 울리는데, 그 울림이 그렇게 허망할 수가 없다. 진회숙 / 음악평론가음악으로 읽는 세상 황금 러시아 작곡가 시간적 배경 상트페테르부르크 남쪽

2023-10-06

[열린광장]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4월

‘봄비가 내리는 4월의 찬 바람은 버드나무와 라일락을 불러오누나.   다시 돌아오는 참새들의 울음소리는 떼를 지어 울리는 나팔 소리 같구나.’             연설가이자 비평가, 수필가, 시인이기도 한 미국의 철학자 R. H. 에머슨(1803년생)이 눈부시게 빛나는 4월을 멋지게 읊은 노래다.  그래서인지 4월에는 많은 예술가가 태어났다. 1868년 4월 1일엔 프랑스의 극작가 에드몽 로스탕이, 1873년 4월 1일에는 러시아의 작곡가 세르게이 라흐마니노프가 태어났다. 라흐마니노프는 작곡가일 뿐만 아니라 이름난 피아니스트이며 지휘자이기도 하다. 특히 그의 피아노 서곡 C# 단조를 열아홉살에 작곡한 것으로 유명하다.     또 4월 1일은 모두가 즐기는 만우절이기도 하다. 이 만우절은 1564년 프랑스의 샤를 9세 때 새로 바뀐 달력에서부터 시작됐다.     1830년 4월 6일엔 조지프 스미스가 ‘모르몬교(The Curch of Jesus Christ of Latter-day Saints)’를 창설했고, 로버트 피어리와 매튜 헨슨은 1909년 이날 북극을 탐험했다. 또 1917년 4월 6일은 미국이 제1차 세계대전에서 독일에 선전포고를 한 날이다.       그리고 프랑스의 나폴레옹 보나파트 장군은 1818년 4월 11일 처음으로 전쟁에서 후퇴했으며, 미국 대법원장을 역임한 찰스 에반스휴스가 1862년 이날 태어났다. 그리고 4월12일에는 미국 제26대 대통령 프랭클린 루스벨트가 1845년 이날 세상을 떠났고, 구소련의 우주비행사 유리 가가린은 1961년 이날 처음으로 달에 착륙했다.      1865년 4월 14일은 존 부스가 에이브러햄 링컨 대통령을 저격한 날이며, 1912년 4월 15일엔 타이태닉호 침몰 사건이 발생해 약 1500명이 목숨을 잃었다.     독일의 유명 철학자 임마누일 칸트는 1724년 4월22일 태어났다. 그리고 영국의 대문호 윌리엄 세익스피어가 1564년 4월23일, 러시아 작곡가 세르겔 프로코피에브는 1891년 이날 태어났다.     4월의 마지막 날을 빛나게 한 두 사건은 1789년의 미국의 초대 대통령 조지 워싱턴의 취임식과 1939년 뉴욕 엠파이어 스테이트 빌딩에서의 첫 텔레비전 방송이다.       마지막으로 한국인으로서는 잊지 못할 특별한 날인 4월 19일을 기억하게 된다. 한국의 4·19혁명이 일어난 것이 1960년 4월 19일이다. 젊은 학생들이 자유와 평화를 위해 피 흘리며 독재에 맞서 싸운 날이다. 미국의 독립전쟁이 시작된 날도  1775년 4월 19일이었다.       참 다이아몬드처럼 빛나는 4월을 더 뜻깊게 하려면 모름지기 죽음을 물리치시고 새 생명을 주신 예수님을 기리는 부활절을 뜻깊게 맞이해야겠다는 생각을 떠올리면서 이 글을 마친다. 할렐루야!       윤경중 / 연세목회자회 증경회장열린광장 다이아몬드 러시아 작곡가 작곡가 세르게이 대통령 프랭클린

2023-03-31

[분수대] 바비 야르

 바비 야르. 러시아 작곡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1906~1975)의 교향곡 13번은 이렇게 불린다. 바비 야르는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에서 조금 떨어진 마을 이름이다. 독일과의 전쟁의 한창이던 1941년 9월의 어느 날, 나치 친위대(SS)는 바비 야르에서 집단 학살을 저지른다. 유대인, 집시, 우크라이나인 등 3만명이 넘는 이들이 독일군 기관총에 희생됐다.   쇼스타코비치는 예브게니 옙투셴코(1933~2017)의 시를 가사로 삼아 이를 추모했다. 러시아 내 반 유대인 정서를 비판한 옙투셴코의 시를 인용한 교향곡 13번은 1962년 12월 18일 모스크바 콘서바토리에서 초연이 이루어졌다. 소비에트 정권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경찰이 공연장 밖에서 대기했고 프로그램 북도 배포하지 않았다.   쇼스타코비치의 일생은 러시아 현대사 그 자체다. 그는 정권에 순응했고, 비판했고, 예술적 자유를 강하게 요구하기도 했다. 줄리언 반스는 쇼스타코비치의 삶을 다룬 『시대의 소음』에서 “그가 무엇으로 시대의 소음과 맞설 수 있었을까. (중략) 수십 년에 걸쳐 역사의 속삭임으로 바뀌는 그런 음악. 그가 고수했던 것이 바로 그것이었다”고 적었다.   바비 야르가 또다시 전쟁의 포화 속으로 빨려 들어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러시아 10만 병력이 우크라이나 접경 지역으로 이동했고 내년 초 침공할 수 있다는 주장이 외신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2014년 크림반도 강제 점령처럼 러시아가 실효 지배할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침공에 앞선 러시아의 서방 국가 견제는 노골적이다. 러시아 정부는 폴란드를 거쳐 독일로 연결되는 야말-유럽 가스관을 잠갔다. 우크라이나를 경유해 유럽으로 가는 가스 공급도 20% 가까이 줄였다고 한다.   러시아 리스크에 겨울철 가스 대란 가능성이 커지며 에너지 수급에도 비상이 걸렸다. 가스 공급이 막히며 유럽 가스 가격은 치솟고 있다. 천연가스 소비 중 러시아 수입이 차지하는 건 5% 수준에 불과하지만 세계적인 에너지 대란이 이어질 경우 한국도 적지 않은 타격을 받을 것이다. 하지만 눈앞에 다가온 에너지 대란보다 더 우려되는 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다. 쇼스타코비치가 ‘바비 야르’에 담았던 차별에 대한 저항과 자유는 지금도 시대의 소음에 묻혀 있다. 이를 드러내는 건 우리의 몫이다. 강기헌 / 한국 산업1팀 기자분수대 바비 러시아 현대사 러시아 작곡가 러시아 리스크

2022-01-02

[J네트워크] 쇼스타코비치의 ‘바비 야르’

 바비 야르. 러시아 작곡가 드미트리 쇼스타코비치(1906~1975)의 교향곡 13번은 이렇게 불린다. 바비 야르는 우크라이나 수도 키예프에서 조금 떨어진 마을 이름이다. 독일과의 전쟁의 한창이던 1941년 9월의 어느 날, 나치 친위대(SS)는 바비 야르에서 집단 학살을 저지른다. 유대인, 집시, 우크라이나인 등 3만명이 넘는 이들이 독일군 기관총에 희생됐다.   쇼스타코비치는 예브게니 옙투셴코(1933~2017)의 시를 가사로 삼아 이를 추모했다. 러시아 내 반 유대인 정서를 비판한 옙투셴코의 시를 인용한 교향곡 13번은 1962년 12월 18일 모스크바 콘서바토리에서 초연이 이루어졌다. 소비에트 정권은 쇼스타코비치의 작품을 달가워하지 않았다. 경찰이 공연장 밖에서 대기했고 프로그램 북도 배포하지 않았다.   쇼스타코비치의 일생은 러시아 현대사 그 자체다. 그는 정권에 순응했고, 비판했고, 예술적 자유를 강하게 요구하기도 했다. 줄리언 반스는 쇼스타코비치의 삶을 다룬 ‘시대의 소음’에서 “그가 무엇으로 시대의 소음과 맞설 수 있었을까. (중략) 수십 년에 걸쳐 역사의 속삭임으로 바뀌는 그런 음악. 그가 고수했던 것이 바로 그것이었다”고 적었다.   바비 야르가 또다시 전쟁의 포화 속으로 빨려 들어갈 가능성이 커지고 있다. 러시아 10만 병력이 우크라이나 접경 지역으로 이동했고 내년 초 침공할 수 있다는 주장이 외신을 통해 전해지고 있다. 2014년 크림반도 강제 점령처럼 러시아가 실효 지배할 것이란 예측도 나온다. 침공에 앞선 러시아의 서방 국가 견제는 노골적이다. 러시아 정부는 폴란드를 거쳐 독일로 연결되는 야말-유럽 가스관을 잠갔다. 우크라이나를 경유해 유럽으로 가는 가스 공급도 20% 가까이 줄였다고 한다.   러시아 리스크에 겨울철 가스 대란 가능성이 커지며 에너지 수급에도 비상이 걸렸다. 가스 공급이 막히며 유럽 가스 가격은 치솟고 있다. 천연가스 소비 중 러시아 수입이 차지하는 건 5% 수준에 불과하지만 세계적인 에너지 대란이 이어질 경우 한국도 적지 않은 타격을 받을 것이다.     하지만 눈앞에 다가온 에너지 대란보다 더 우려되는 건 러시아의 우크라이나 침공이다. 쇼스타코비치가 ‘바비 야르’에 담았던 차별에 대한 저항과 자유는 지금도 시대의 소음에 묻혀 있다. 이를 드러내는 건 우리의 몫이다. 강기헌 / 한국 중앙일보 기자J네트워크 쇼스타코비치 바비 러시아 현대사 러시아 작곡가 러시아 리스크

2021-12-27

많이 본 뉴스




실시간 뉴스